lvm
# LVM 안쓸때:
물리디스크(/dev/sdX) ---> 파티션(/dev/sdXN) ---> 마운트 해서 사용
# LVM 쓰면
물리디스크(PV) 물리디스크(PV) 를 VG로 해서 예전디스크처럼 사용.
VG(예전디스크)를
LV(예전파티션)로 파티션해서
LV를 마운트 한다. /dev/vg이름/lv이름 (이름모르면 lvdisplay 하면 나옴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 구조 확인
lsblk
# list
pvs
vgs
lvs
#
pvscan
vgscan
lvscan
# list detail
pvdisplay
vgdisplay
lvdisplay
# pv만들기
# 전체디스크면 fdisk 없이. 바로 pvcreate 하거나.
pvcreate /dev/sdN
# 파티션 fdisk 후에. pvcreate 하거나
fdisk -l
fdisk /dev/sdNX
n
p
t 8e # Linux LVM
w
pvcreate /dev/sdNX
pvs
vgs
lsblk
# vg 만들기
vgcreate pv이름 pv이름 vg이름
lvcreate -L lv용량 -n lv이름 vg이름
lvcreate -l 50%FREE -n lv이름 vg이름
lvcreate -L 2500 (2500MB)
lvcreate -L 15G
lvcreate -l 50%VG (전체VG용량의 50%)
lvcreate -l 50%FREE (남은VG용량의 50%)
lvcreate -l 100%FREE (남은VG용량 전부)
# 포맷
mkfs -t ext4 /dev/vg이름2/lv이름
#디바이스 이름은
/dev/vg이름/lv이름
모르면 lvdisplay 하면 나옴.
# vg 확장
vgextend vg이름 pv이름
# lv확장
lvextend -L 1G lv이름 (전체용량을 전체1G로 확장. 현재용량이 1G보다 큰 상태면 오류남)
lvextend -L +1G lv이름 (전체용량을 1G를 추가함.)
lvextend -l +100%FREE lv이름 (남은 공간 전체를 추가)
resize2fs /dev/vg이름/lv이름
# lv 저장방식
linear LV: 기본 저장방식. 순서대로 저장함 (1번디스크 다 쓰고, 2번 쓰고, 3번 쓰고)
striped LV: 디스크(pv) 동일하게 저장. 읽고 쓰기 속도 증가함. (1번 2번 3번 동일하게 쓰기)
lvcreate -i 숫자(striped할 pv갯수)
단 lv가 속한 vg에 속한 pv보다 크면 안된다.
물리하드가 2개인데, -i 3 하면 안됨.
'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kms module fail status remove build install (0) | 2017.09.15 |
---|---|
IPTIME A2000UA Ubuntu 16.04 Linux dkms (0) | 2017.08.04 |
freetds : SQLSTATE[01002] Adaptive Server connection failed (severity 9) (0) | 2017.08.03 |
ubuntu geoip php 설치 (0) | 2015.09.10 |
ubuntu 14.04 apt-get kernel upgrade (0) | 2015.09.07 |
# 2번째 DB설정 파일
.env
config/database.php
# 실제사용 테이블
app/Xxxx.php
# .env 파일
// 기존
DB_CONNECTION=sqlsrv
DB_HOST=xxx.xxx.xxx.xxx
DB_PORT=1433
DB_DATABASE=aaaa
DB_USERNAME=bbbb
DB_PASSWORD=cccc
// 추가
DB_CONNECTION_TEST=sqlsrv
DB_HOST_TEST=xxx.xxx.xxx.xxx
DB_PORT_TEST=1433
DB_DATABASE_TEST=aaaa_test
DB_USERNAME_TEST=bbbb
DB_PASSWORD_TEST=cccc
# config/database.php 파일
// 기존
'sqlsrv' => [
'driver' => 'sqlsrv',
'url' => env('DATABASE_URL'),
'host' => env('DB_HOST', 'localhost'),
'port' => env('DB_PORT', '1433'),
'database' => env('DB_DATABASE', 'forge'),
'username' => env('DB_USERNAME', 'forge'),
'password' => env('DB_PASSWORD', ''),
'charset' => 'utf8',
'prefix' => '',
'prefix_indexes' => true,
],
// 추가
'sqlsrv_test' => [
'driver' => 'sqlsrv',
'url' => env('DATABASE_URL_TEST'),
'host' => env('DB_HOST_TEST', 'localhost'),
'port' => env('DB_PORT_TEST', '1433'),
'database' => env('DB_DATABASE_TEST', 'forge'),
'username' => env('DB_USERNAME_TEST', 'forge'),
'password' => env('DB_PASSWORD_TEST', ''),
'charset' => 'utf8',
'prefix' => '',
'prefix_indexes' => true,
],
# app/Xxxx.php 파일
class Xxxx extends Model
{
// 테스트 DB
// 실제DB연결시에는 주석처리 하기
protected $connection ='sqlsrv_test';
'Larav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ravel(라라벨) 버전전 pagination default view 파일명 (0) | 2022.07.19 |
---|
VMware 7.0 설치후에 관리콘솔 및 열린 port IP차단.

80, 443포트 막은 후에, nmap 으로 포트스캔해서 나오는 이름-포트 내역.
vSphere Web Access: 80
VSphere Web Client: 443, 902
NFC: 902
vMotion: 8000
Fault Tolerance: 8300
iofiltervp: 9080
열린포트로 외부에서 찝쩍거리는 것이 싫다면 위 서비스를 다 막아준다.
'VM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ware ESXi 7.0 : NAT용 pfSense 설정 및 웹관리도구 접속허용 (0) | 2022.06.05 |
---|